전체 글 80

Kubernetest4

# Ingress * 앞서 실습한 Loadbalancer는 NLB - Ingress는 L7의 Loadbalancer 역할을 할 수 있다. - Ingress가 들어온 경로를 인지하고 service로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 git clone https://github.com/hali-linux/_Book_k8sInfra.git # kubectl apply -f /root/_Book_k8sInfra/ch3/3.3.2/ingress-nginx.yaml # kubectl get pods -n ingress-nginx # mkdir ingress && cd $_ - yum install git으로 git 설치 후 ingress 야믈 파일 어플라이 - ingress 설치 ## Ingress 아키텍처 - cluste..

Kubernetes2

# replicaset 이미지 업데이트 시도 - kubectl edit replicasets.apps nginx-replicaset - replicasets의 이미지 변경 - 하지만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 - 이미지는 변경되어 있음 # deployment Docker 명령어 run과 같은 기능 # vi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deployment template: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labels: app: nginx-deployment spec:..

Kubernetes1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 여러 서버들은 api server로 연결되고 api server는 etcd안에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 node들은 api server와 연결되서 pod를 만든다. # VM 생성 - ova 파일로 가져오기 - 설정 -> 네트워크 -> 고급에서 맥주소 새로고침 - yum update -y # Minikube 설치(Single Node: Master Node + Worker Node) # hostnamectl set-hostname minikube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 systemctl enable --now docker # yum install -y conntrack git # curl -Lo minikube ht..

Docker3

# dbserver 상태저장 -itd : 기본베이스 이미지 사용시 컨테이너 실행하면서 백그라운드 실행 - 이후에 변경이 가능하지만 컨테이너 이름을 mysql이 아니라 dbserver로 설정한다 ***** docker rmi -f $(docker images -q) - 이미지 전부를 한줄씩 모두 삭제한다. - 방금 생성한 컨테이너 내부로 접근 - maridDB 설치 - sed: 편집 스크립트에 따라 지정된 File 매개변수에서 행을 수정하고 표준 출력에 작성 - apt update을 하지 않으면 카카오.mirror의 이미지를 사용 못한다. - apt install -y mariadb-server 를 실행 : mariaDB 설치 - service mysql start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으면 mariaDB,..

docker2

# 컨테이너 이미지로 만든 후 tar 파일로 만들기 docker container commit -a "johnlee" -m "NICE TO MEET YOU" webserver test_commit:v1.0 # container을 이미지로 만드는 과정 docker image ls docker image inspect test_commit:v1.0 # image 세부정보 확인 docker image save -o test_commit.tar test_commit:v1.0 # 이미지를 tar로 만드는 과정 ls -al # tar파일이 만들어져 있음 docker rm -f webserver # container 삭제 docker rmi -f test_commit # 이미지 삭제 docker image load ..

도커(Docker)

0. 도커 개념 - OS 수준의 가상화 - VM(하이퍼바이저) 보다 Layer가 높다 - 컨테이너는 VM과 역할이 유사함; 구획을 만들고 , 애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함 - 도커는 이미지와 컨테이너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 여러 도커 컨테이너가 호스트 OS를 공유한다. -> 오버헤드(프로그램의 실행흐름 도중에 동떨어진 위치의 코드를 실행시켜야 할 때 , 추가적으로 시간,메모리,자원이 사용되는 현상)가 적다(컨테이너 자체에는 OS가 없기 때문에) - OS를 대신하여 Base Image가 존재한다. - OS의 이름을 활용하여 base image가 있지만, 일반적인 OS가 아니다. - base image는 AMI와 유사 - AMI를 실행시켜 VM을 만드는 것처럼 이미지를 ..

GCP - Terraform, Ansible

1. Service account - 키를 만들면 json 형식의 파일이 하나 다운 받아진다. - 이 파일을 credentials.json으로 변경하여 저장해 놓는다. # vi provider.tf provider "google" { credentials = file("credentials.json") project = "terraform-02" region = "asia-northeast3" zone = "asia-northeast3-a" } # vi main.tf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network-with-private-ip-ranges" { name = "test-subnet" ip_cidr_range = "192.168.0.0/16" reg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