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olution Architect/네트워크 2

NAT 서버

NAT서버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구축할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사내망과 외부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중심 서버입니다. NAT 서버가 없다면 내부에서 서버를 구축하더라도 외부와 통신할 수 없게 됩니다. 또한 외부와 통신을 위해 내부에 있는 서버들이 모두 NAT서버와 연결되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에서 핵심 서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 기본적인 NAT 설정 NAT는 사내망과 외부망을 연결하기 때문에 랜카드가 2개(사내망용 + 외부망용) 들어갑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사내망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외부망을 활용하여 접근해야 하며 각 랜카드에 몇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1) 사내망 랜카드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사내망용 랜카드에 접근 ### ..

온프레미스 환경 네트워크 구축 실습

이번 post에서는 현재 수강하고 있는 Cloud Solutions Architect 교육 과정에서 온프레미스 환경의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NAT 서버를 중심으로 사내망과 외부망을 분리하였고, 총 6개(NAT 포함)의 서버를 구축하여 실제 회사에서 사용할 만한 온프레미스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VMWare 서버 구축 1) Diagram 구축하려는 서버는 WEB01_SAMBA, WEB02_NFS, DNS_NMS, DATABASE, DATABASE_BAK, NAT_HAPROXY_DHCP로 총 6개입니다. 2) 서버 설명 1) WEB01_SAMBA : 웹서버와 네트워크 파일 공유 시스템인 SAMBA 전용 서버입니다. 2) WEB02_NFS : 웹서버와 리눅스용 파일 시스템인 NFS 전용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