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olution Architect/컨테이너 2

docker2

# 컨테이너 이미지로 만든 후 tar 파일로 만들기 docker container commit -a "johnlee" -m "NICE TO MEET YOU" webserver test_commit:v1.0 # container을 이미지로 만드는 과정 docker image ls docker image inspect test_commit:v1.0 # image 세부정보 확인 docker image save -o test_commit.tar test_commit:v1.0 # 이미지를 tar로 만드는 과정 ls -al # tar파일이 만들어져 있음 docker rm -f webserver # container 삭제 docker rmi -f test_commit # 이미지 삭제 docker image load ..

도커(Docker)

0. 도커 개념 - OS 수준의 가상화 - VM(하이퍼바이저) 보다 Layer가 높다 - 컨테이너는 VM과 역할이 유사함; 구획을 만들고 , 애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함 - 도커는 이미지와 컨테이너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 여러 도커 컨테이너가 호스트 OS를 공유한다. -> 오버헤드(프로그램의 실행흐름 도중에 동떨어진 위치의 코드를 실행시켜야 할 때 , 추가적으로 시간,메모리,자원이 사용되는 현상)가 적다(컨테이너 자체에는 OS가 없기 때문에) - OS를 대신하여 Base Image가 존재한다. - OS의 이름을 활용하여 base image가 있지만, 일반적인 OS가 아니다. - base image는 AMI와 유사 - AMI를 실행시켜 VM을 만드는 것처럼 이미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