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oud Load Balancing(부하분산) - L4 스위치는 디테일한 패킷(헤더)분석이 불가능함 단순히 포트 구별 정도만 가능(TCP) - L7 스위치는 디테일한 패킷 분석이 가능하다(HTTPS, HTTP) - 풀은 대상이다. - Server Pool, farm(그룹) - 사전에 web01과 web02이 그룹으로 묶여있다면 선택 가능 - 백업 풀 선택 : 모든 서버가 죽으면 정적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잘 꾸며진 에러 페이지를 보여준다 - 세선 어피니티 : 로그인시 정보를 세션의 어느 한쪽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설정(IP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설정하지 않는다. - 확인 간격 : 확인 간격 시간을 설정한다. (너무 짧으면 부하가 올 수 있고, 너무 길면 상태 확인하는데 오래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