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킹 3

프로토콜 계층화(TCP / IP 계층화)

프로토콜을 계층화 하는 이유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다 만일 프로토콜 계층화를 하지 않는 다면 작업이 복잡해지고,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지않아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layer : 어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있는 곳이다. 인터넷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HTTP, SMTP, FTP 같은 많은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우리에게 친근한 www.ietf.org 같은 이름을 32비트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볼 것이고,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도메인 네임 서버(DNS)가 돕는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은 여러 종단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어서, 한 종단 시스템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종단 시스템에 있는 애플리케..

인터넷과 프로토콜

인터넷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이고 휴대전화나 pc등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확실한 대답을 하기 어렵다. 인터넷을 확실한 개념으로 설명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인터넷의 개념이 추상적이면서 범용적이기 때문이다. 인터넷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할 수 는 없지만, 인터넷의 구성요소와 서비스 측면에서 인터넷이 무슨 역할을 하며 인터넷의 쓰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 구성요소로 보는 인터넷(nuts and bolts view) 인터넷은 수많은 컴퓨터 장치들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모든 장치는 호스트 혹은 종단 시스템(end system)이라고 부른다. 종단 시스템은 통신 링크(communication link)와 패킷 스위치(packet swit..

Http와 Https 통신 방식의 차이

http 방식은 네트워크상에서 정보를 누군가가 마음대로 열람, 수정이 가능하다. www상에서 웹 서버와 브라우저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기본 TCP/IP 포트로 80포트를 사용한다. 데이터를 단순 텍스트 형태로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전송 신호를 가로채는 경우 윈치 않는 데이터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보안에 취약하다. https는 http의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SL(= TLS)(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도입하였다. 공개키를 공개하여 클라이언트 측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면 서버가 비밀키로 복호화 한다. TLS는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여 데이터가 전송 중에 수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자신이..